반응형

 

Defi(Decentralized Finance)의 사전적 의미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라 표현한다.

하지만 단순히 탈중앙화를 했다는 것만으로 디파이를 정의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기에 중앙집중식과 탈중앙화 금융 간의 차이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가장 첫 번째는 신뢰를 보증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은행에 예금을 하는 경우 우리는 은행에 그 돈이 있을 것으로 믿는다. 더 정확하게는 은행에서 운영하는 전산 시스템에 이용자가 예금했다는 증표인 전자적 기록을 믿는 것이다. 우리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통장의 기록을 확인하거나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은행 전산 시스템의 기록 상태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탈중앙화 금융에서는 이를 보증하는 중앙기관이 없다. 따라서 이용자들 서로가 신뢰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탈중앙화 금융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근본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제 디파이를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에 더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만 탈중앙화로 동작하는 금융 서비스를 모두 디파이로 정의하는 것이 맞는 정의일까?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금융 서비스인 대출 서비스는 중앙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은 이자 정책을 정하고 대출 이용자는 은행과 대출 계약을 체결한다. 이 계약을 기반으로 고객은 대출금을 받아 사용한 뒤 정해진 일정에 따라 이자와 원금을 상환한다. 기존 금융서비스 중 이용자와 약관에 동의, 약정계약 등 사전에 약속을 정하지 않는 금융거래는 없다.

디파이 서비스 역시 그 본질은 금융 서비스이기 때문에 중앙기관 없이 신뢰를 보증할 수 있는 수단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만 활용하는 것은 부족하며, 금융거래 약속을 정하고 이행을 강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이러한 금융거래 약속을 정하고 이행을 강제할 수 있는 수단이 바로 스마트계약이다. 스마트계약이란 계약 당사자간에 사전합의 된 내용을 프로그래밍을 통해 전자계약 형태로 체결하고 계약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 내용을 실행하도록 구현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스마트계약은 제3의 보증기관 없이 개인 간의 계약 체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디파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겠다.

 

디파이 :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스마트계약을 활용하여 동작하는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

 

 

출처 : http://www.obdia.org/?kboard_content_redirect=1364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