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역으로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설정하기
git conifg --global user.name "유저네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주소"
2. 프로젝트 생성
자신이 사용할 프로젝트 파일을 init을 통해 초기화
git init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면. git 폴더가 생성된다. 이는 숨긴 파일로 되어있기 때문에 window에서 숨긴 파일해제를 해야 볼 수 있다.
3. GIT 설명
.git 은 특정폴더(. git)에 내가 작업한 히스토리를 모두 보관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버전관리 시스템이라고 한다.
git이라는 폴더를 통해 작성한 코드들들의 시간과 기록을 히스토리로 저장하여 내가 원하는 지점과 작업에 에러가 생긴다면 에러가 나기 전의 시점으로 돌아갈 수 있는 아주 강력한 도구이다.
4. GIT 실습
git init을 진행 시킨 폴더에
development.json 추가
{
    "username": "root",
    "password": "root",
    "database": "board_dev",
    "host": "127.0.0.1",
    "dialect": "mysql"
}작업한 폴더에 json 파일을 추가한 후
깃 현재 상태 확인
git status명령어 를 사용하면 자신이 추가한 파일이나 폴더를 추적하여 준다.

아래와 같이 git status 명령어를 쳤을 때 파일은 추가했지만, Untracked files에 빨간색으로 뜬다면, 워크스페이스 즉, 자신이 작업하던 공간에서 git add test.json 명령어를 통해 stage로 올려줘야 한다.
깃 스테이지에 저장
git add test.json
깃 스테이지에 올라간 파일은 new file : test.json의 형태로 올라가게 되고, 이는 git repository에 올라갈 준비가 되었다.
이 상태에서 git commit -m 'feat : add file test.json' 을 통해 자신이 기록할 커밋메시지로 커밋을 하게 되면, 자신이 올린 파일이 커밋 메시지와 함께 깃 repository에 올라가게 된다.
깃 레포지토리에 올리기 및 커밋메시지 남기기
git commit -m 'feat : add file test.json'
커밋 메시지를 남기게 되면 레포지토리에 파일이 올라가면서 커밋메시지를 남기게 된다.
깃 로그
git log

깃 로그 명령어를 치게 되면 자신이 작성한 깃 로그를 확인 할 수 있다.
commit 뒤에는 해시값이 나오게 되고 이 해 시값을 통해 자신의 commit에 대해 접근할 수 있다.
Author 에는 자신이 등록했던 유저 네임과 유저 이메일이 뜬다.
맨 아래에는 feat : add file test.json 이 자신이 기록한 커밋메시지가 남게 된다.
5. 기본적인 깃 사용 정리
1. 전역으로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설정하기
git conifg --global user.name "유저네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주소"
2. 프로젝트 생성
사용할 폴더에 깃 초기화
git init3. 깃 상태 확인
git status4. 워크스 페이스에 파일 추가하기
test.json 파일 추가하기
5. 깃 파일 스테이지에 추가하기
git add test.json6. 깃 레포지토리에 올리기 및 커밋메시지 남기기
git commit -m 'feat : add file test.json'7. 깃 로그로 자신이 남긴 커밋메시지 및 내용확인
git log
